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경제, 투자/공부하기3

[공부] 볼린저 밴드에 대해 다시 보자 며칠 동안 글을 안 올렸습니다. 뭐 놀면서 지낸 것은 아니고요. 책 쓰는 것에 집중하고 있었습니다. 아직 진행 중입니다. 목표 출간일을 이번 주말인데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. 그래도 틈틈이 공부는 하고 있습니다. 오늘 볼 주제는 볼린저 밴드입니다. 투자 공부하시면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이름입니다. 많이들 사용하시나요? 예전에 저도 이걸로 재미를 보긴 했습니다만..... 볼린저밴드는 대부분의 차트 프로그램에 기본적으로 들어있습니다. 일봉기준으로 설명해 보자면 중심선은 20일 이평선 상한선 = 중심선 + (20일 주가 표준편차) *2 하한선 = 중심선 - (20일 주가 표준편차) *2 모든 지표가 그러하듯, 이평선과 표준편차의 숫자는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. 차트의 시간 프레임과 개인 선호도에 따라 달라.. 2023. 6. 8.
[공부] RSI에 대해 다시보자 이번에는 투자자들이 많이들 참고하는 RSI(Relative Strength Index; 상대강도지수)입니다. RSI(Relative Strength Index; 상대강도지수) 1978년 미국의 웰레스 와일더(J. Welles Wilder Jr.)에 의해 개발된 인기 있는 모멘텀 오실레이터 상품의 과매수, 과매도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지표 # 판단기준 RSI는 0에서 100 사이를 오르내리며, 일반적으로 70 이상의 수준은 과매수 상태를 나타내고, 30 이하의 수준은 과매도 상태를 나타냅니다. 사용하기 쉬운 지표중 하나입니다. 30%, 70%는 임의의 기준입니다. 시장 상황과 개인의 트레이딩 방법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. 뭐 단순히 이렇게 끝낼수는 없죠. 이번에도 수학으로 이해해봅시다. 이동평균.. 2023. 5. 28.
[공부] 이동평균에 대해 다시 보자 구글에 가서 '이동평균'을 검색해 보면, 쩌는 결과가 나옵니다. 2700만 개 2700개도 아니고 2700만 개 이렇게나 많은 설명이 있는데 굳이 페이지를 하나 늘리는 이유는.... 같은 내용을 얘기하더라도 조금은 다른 관점을 보여주기 위해서? 네 뭐 소싯적 숫자 좀 찌끄려봤다. 수학은 점수가 나쁘지 않았다. 그렇다면 이미 이해하는 내용일 수 있습니다. 그냥 이런 관점도 있다~ 로 봐주면 됩니다. 아래 이야기는 전부 차트를 설명할 때 이야기 하는 내용입니다. 정말 쉬운 내용은 건너뛰겠습니다 위키백과에서 '이동평균'의 의미를 찾아봅시다 와~C. 겁나 있어 보이게 설명해 놨네요. 이동평균에는 종류가 몇 가지 있지만 여기에서는 단순이동산술평균(대충 더하기만 했다는 얘기)만 얘기합니다 대부분의 차트에 기본적으로.. 2023. 5. 25.